1. Master 또는 Visa 카드 준비
- 1달러 결제 필요
2. 회원 가입 및 로그인
- https://aws.amazon.com/ko/ 접속 후 회원가입
- 영문 주소는 네이버에 '[본인 주소] 영문 주소'로 검색 후 복사하여 넣기
- 계정 유형은 '개인'으로 선택
- 지원 플랜은 '기본 플랜'으로 선택
- 루트 사용자로 로그인
※ 회원 가입 관련 내용은 이미지 생략
3. EC2 인스턴스 생성
- 보통 AWS에서 리눅스 서버를 사용한다고 하면 EC2를 일컬음
- AWS Management Console 화면에서 오른쪽 상단에 리전을 '서울'로 변경
- AWS 서비스 찾기에서 'ec2' 검색
- EC2 대시보드에서 '인스턴스 시작' 클릭
- 단계 1 : Amazon Linux AMI 선택
- 단계 2 : 인스턴스 유형 선택 - t2.micro
- 단계 3 : 인스턴스 구성 - PASS
- 단계 4 : 스토리지 추가 - 크기를 8G에서 30G로 변경
- 단계 5 : 태그 추가 - 키와 값을 적절하게 입력 (메모 권장)
- 단계 6 : 보안 그룹 구성 - SSH를 '내 IP'로 변경 (putty 등으로 접속 시 허용되는 IP)
- 단계 7 : 인스턴스 시작 검토 - '시작하기' 클릭
- 키 페어(pem) 다운로드 후 인스턴스 목록으로 이동하여 정보 확인
3. EC2 서버 접속 (Windows)
- https://putty.org/ 접속 후 putty.exe, puttygen.exe 다운로드
- puttygen.exe 실행 후 import key를 클릭하여 pem를 가져옴
- save private key를 클릭하여 ppk로 저장
- putty로 AWS 접속 시 pem이 아닌 ppk가 필요함
- putty.exe 실행 후 다음과 같이 항목 등록
- Host Name은 'ec2-user@퍼블릭DNS' 으로 입력
- Auth parameter 설정
- 접속 확인
'Web & Mobile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WS] IAM을 이용한 S3 서버 파일 업로드 (Springboot) (0) | 2022.11.09 |
---|---|
[AWS] S3 생성하기 (0) | 2022.11.09 |
[AWS] RDS(MySQL) 생성하기 (0) | 2022.11.09 |
[AWS] EC2 서버 비밀번호로 접속하기 (0) | 2022.11.09 |
[AWS] SpringBoot 프로젝트 Clone 받기 (0) | 2020.09.06 |